반응형
천간지지육친표를 보는 방법을 문의하는 사람들이 많아서 포스팅합니다. 아주 쉽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예를 들어 사주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는 사람이 있다고 가정합니다
시 | 일 | 월 | 년 | |
천간 | 甲 | 乙 | 丁 | 丙 |
지지 | 卯 | 未 | 辰 | 酉 |
시 | 일 | 월 | 년 | |
천간 | 甲 | 乙 | 丁 | 丙 |
지지 | 卯 | 未 | 辰 | 酉 |
겁재 | 식신 | 상관 | ||
비견 | 편재 | 정재 | 편관 |
일간을 기준으로 봅니다. 위의 사주는 일간이 乙입니다. 따라서 위의 표의 두 번째 줄을 보면 됩니다.
천간부터 보겠습니다. 두 번째 줄에서 甲을 찾습니다. 겁재입니다.
월간의 丁는 식신입니다. 연간의 丙은 상관입니다.
이제 지지를 찾아보겠습니다. 시지의 卯는 비견입니다. 일지의 未는 편재입니다. 월지의 辰은 정재입니다. 년지의 酉는 편관입니다.
찾기 쉽지요? 사실 이것은 무료 만세력에서 사주를 찾으면 다 나옵니다.
그럼 다음 포스팅에서는 각각의 육신의 기질과 작용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