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리학

24절기와 절입일

반응형

24절기는 농경사회 때부터 태양의 황도 위치에 따라 계절적 구분을 하기 위해 만들어 놓았습니다. 

24절기는 원래 처음부터 달이 아닌 태양을 중심으로 만들어졌습니다. 24절기는 양력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일정한 달의 일정한 날에서 정해지는 것이 특징입니다. 따라서 절입일이 늘 달의 1일~10일 동안에 위치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24절기는 밤과 낮의 길이 등이 달이 아닌 태양 중심으로 만들어졌습니다. 따라서 양력과 일치합니다. 

24절기는 처음부터 태양의 황도상 위치에 따라 계절적 구분을 하기 위해 만들었습니다. 황도에서 춘분점을 기점으로 15도 간격으로 점을 찍어 24개 절기로 나타냅니다. 1년을 봄, 여름, 가을, 겨울 네 계절로 나누고 각 계절에 6개씩 절기를 나누어 놓아 농사 짓는 일에 기준을 삼았습니다. 

 

 

1. 입춘(立春)은  2월4일 또는 5일입니다. 봄의 시작을 의미하며, 인월(寅月)의 접입일입니다. 

태양의 황경이 315도일때로 이날부터 봄이 시작됩니다. 

입춘은 복을 기원하는 의미로 입춘축을 대문에 붙입니다. 입춘날 입춘축을 붙이면 굿 한 번 하는 것보다 낫다고 하여 입춘이 드는 시각에 맞추어 붙이기 위해 밤중에 붙이기도 합니다. 

이날 집안 물건을 누구에게도 내주는 일이 없는데, 만일 집 밖으로 내보내면 그해 내내 재물이 밖으로 나가게만 되낟고 합니다. 또한 이날 무를 먹으면 늙지 않는다고 하여 무를 먹고, 잡곡밥은 먹지 않고 흰쌀밥을 먹습니다. 

 

2. 우수(雨水)은 2월 18일 또는 19일입니다. 눈이 녹아서 비가 된다뜻으로 곧 날씨가 풀린다는 뜻입니다. 봄비가 내리고 싹이 틉니다. 태양의 황경이 330도의 위치에 올 때입니다. 

 

3. 경칩(驚蟄)은 3월5일 또는 6일입니다. 땅속에 들어가서 동면을 하던 개구리가 겨울잠에서 깨어나 꿈틀거리기 시작하는 무렵입니다. 태양의 황경이 345도에 이르는 때를 이릅니다. 

개구리들은 번식기인 봄을 맞아 물이 괸 곳에 알을 까놓는데, 그 알을 먹으면 허리아픈 데 좋을 뿐 아니라 몸을 보한다고 해서 경칩일에 개구리알을 먹는 풍속이 전해 오고 있다고 합니다. 

경칩에는 흙일하면 탈이 없다고 해서 벽을 바르거나 담을 쌓기도 했다고 합니다. 단풍나무나 고로쇠나무를 베어 나무에서 나오는 수액을 마시면 위장병이나 성병에 효과가 있다고 해서 약으로 먹는 지방도 있다고 합니다. 

 

4. 춘분(春分)은 3월20일 또는 21일입니다. 태양은 적도 위를 똑바로 비추고 지구상에서는 낮과 밤의 길이가 같습니다. 춘분점은 태양이 남쪽에서 북쪽을 향하여 적도를 통과하는 점입니다. 

농사의 시작인 초경을 엄숙하게 행하여야만 한 해 동안 걱정없이 풍족하게 지낼 수 있다고 믿습니다. 

 

5. 청명(淸明)은 4월4일 또는 5일입니다. 청명이란 말은 날씨가 좋은 날이라는 뜻입니다. 날씨가 좋아야 농사를 시작하기에 좋습니다. 따라서 이 때쯤 봄 농사를 준비합니다. 태양의 황경이 15도에 있을 때입니다. 이날은 한식날 하루 전이거나 한식날과 같은 날이 되기도 합니다. 한식날은 버드나무와 느릅나무를 비벼 새 불을 일으켜 임금에게 바칩니다. 임금은 이불을 높은 관직에 있는 문무백과, 고을의 수령들에게 나누어 주고 수령들은 이불을 백성들에게 나누어 줍니다. 묵은 불을 끄고 새불을 기다리는 동안 백성들은 밥을 지을 수 없어 찬밥을 먹는 다고 해서 한식이라고 한다고 합니다. 

 

6. 곡우(穀雨)는 4월20일 또는 21일입니다. 농사비가 내립니다. 태양의 황경이 30도에 해당할 때입니다. 이때부터 본격적인 농사가 시작됩니다. 이쯤 되면 봄비가 잘 내리고 백곡이 윤택해진다고 합니다. 

곡우무렵에는 나무에 물이 가장 많이 오르는 시기입니다. 그래서 곡우물을 먹기 위해 나무에 통을 달아두고 여러날 동안 수액을 받는다고 합니다 

 

7. 입하(入夏)는 5월5일 또는 6일입니다. 여름이 시작됩니다. 태양의 황경이 45도에 이르렀을 때를 말합니다. 보리가 익을 무렵의 서늘한 날씨라는 뜻으로 맥량, 맥추라고도 합니다. 

 

8. 소만(小滿)은 5월21또는 22일입니다. 본격적으로 농사가 시작됩니다. 태양의 황경이 60도를 통과할 때를 말합니다. 햇살이 풍부하고 만물이 점차 생장하여 가득찬다는 의미를 가집니다. 

 

9. 망종(芒種)은 6월5일 또는 6일입니다. 씨를 뿌리기 시작합니다. 태양의 황경이 75도에 도달한 때를 말합니다. 망종에는 망종보기라 해서 망종이 일찌기 들고 늦게 듦에 따라 그해 농사의 풍퓽을 점친다고 합니다. 또한 부산에서는 망종에 날씨가 궂거나 비가 오면 그해 풍년이 든다는 말도 있습니다. 

제주도에서는 망종날 풋보리 이삭을 뜯어서 손으로 비벼 보리알을 갈아서 보릿가루죽을 끓여 먹으면 여름에 보리밥을 먹고 배탈이 나지 않는다고 합니다. 

보리를 밤이슬을 맞게 두었다가 다음날 먹으면 허리 아픈 데 약이 된다고 합니다. 그리고 그해에 병이 없이 지낼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10. 하지(夏至)는 6월21일 또는 22일입니다. 낮이 연중 가장 긴 시기입니다. 일년 중 태양의 적위가 가장 커지는 시기입니다. 태양은 황도상에서 가장 북쪽에 위치하는데 그 위치를 하지점이라고 합니다. 태양 높이가 가장 높고 일사량도 가장 많은 날이라고 합니다. 

우리나라는 장마철에 비가 집중적으로 내리기 때문에 하지 무렵까지는 가뭄이 계속 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래서 기우제를 지내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11. 소서(小暑)는 7월7일 또는 8일입니다. 태양이 황경 105도의 위치에 있을 때입니다. 작은 더위라 불리고 이때부터 더위가 시작됩니다. 과일과 채소가 많이 납니다. 

 

12. 대서(大暑)는 7월22일 또는 23일 입니다. 더위가 가장 심합니다. 태양의 황경이 120도 지점을 통과할 때입니다. 중복이 끝나고 장마도끝나고 더위가 가장 심한 시기입니다. 토의 기운이 가장 왕성한 절기입니다. 따라서 이때 흙일을 하면 해롭다고 합니다. 

 

13. 입추(入秋)는 8월7일 또는 8월8일입니다. 가을이 시작됩니다. 태양의 황경이 135도에 있을 때입니다. 

 

14. 처서(處暑)는 8월23일 또는 24일 입니다. 더위가 식고 일교차가 큽니다. 태양의 황경이 150도에 있을 때입니다. 땅에서는 귀뚜라미 등에 업혀오고, 하늘에는 뭉게구름 타고 온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가을이 드는 계절입니다. 

 

15. 백로(白露)는 9월7일 또는 8일입니다. 흰 이슬이라는 뜻으로 이슬이 내리기 시작합니다. 태양이 황경 165도에 있을 때입니다. 백로에 비가 오면 풍년의 징조로 생각하였습니다. 

 

16. 추분(秋分)은 9월23일 또는 24일입니다. 태양이 북쪽으로부터 남쪽으로 향하여 적도를 통과하는 점으로 적경과 황경이 모두 180도가 되고 적위와 황위가 모두 0도가 됩니다.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집니다. 이때가 지나면 밤의 길이가 길어지기 시작합니다. 아직 여름의 더위가 남아 있습니다. 추분에는 땅속으로 벌레들이 숨고 물이 마르기 시작하는 때입니다. 

 

17. 한로(寒露)는 10월8일 또는 9일 입니다. 찬 이슬이 내리기 시작합니다. 태양이 황경 195도의 위치에 있을 때입니다. 공기가 차츰 선선해지고, 이슬이 서리로 변하기 직전의 시기입니다. 높은 산에 올라가 붉은 수유열매를 머리에 꽂으면 잡귀를 쫓는다고 믿었습니다. 

 

18. 상강(霜降)은 10월23일 또는 24일입니다. 서리가 내리기 시작합니다. 태양의 황경이 210도에 이를 떄를 말합니다. 맑은 날씨가 계속되고, 밤에 기온이 낮아지기 시작합니다. 단풍이 절정에 이르는 때이기도 합니다. 국화꽃도 많이 펴서 국화주를 마시기도 하였습니다. 

 

19. 입동(入冬)은 11월7일 또는 8일입니다. 겨울이 시작됩니다. 동물들이 땅 속에으로 숨으로 산에는 나뭇잎이 떨어지고 풀들이 말라가는 때입니다. 

 

20. 소설(小雪)은 11월22일 또는 23일입니다. 첫눈이 내린다고 하여 소설이라고 하는데 얼음이 얼기 시작합니다. 아직 한겨울은 아니라 따뜻한 햇살이 비치므로 소춘이라고 부르기도 하였습니다. 

 

21. 대설(大雪)은 12월7일 또는 8일입니다. 눈이 많이 내린다라고 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하지만 사실 이는 중국에서 전해졌기 때문에 우리나라는 이때 눈이 많이 내리지는 않습니다. 

 

22. 동지(冬至)은 12월21일 또는 22일입니다. 밤이 1년중 가장 긴 시기입니다. 태양의 부활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어서 설 다음가는 작은 설이라고 불렀습니다. 중국 주나라에서는 동지가 생명력과 광명이 부활하다고 생각하여 동지를 설로 삼았다고 합니다. 따라서 당나라 역법에는 동지를 역의 시작으로 보았습니다. 역경에도 11월을 자월(子月)이라 해서 동직달을 일년의 시작으로 삼았습니다. 우리나라도 신라에 이어 고려시대 충선왕 이전까지는 동지를 설로 지낸것으로 엿보입니다. 

동지에는 동지팥죽을 먹습니다. 팥의 붉은 색이 양(陽)의 색이므로 음귀를 쫓는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동짓날이라도 동지가 11월10일 안에 들면 애동지라고 하여 팥죽을 먹지 않습니다. 

 

23. 소한(小寒)은 1월5일 또는 6일입니다. 겨울 중 가장 추운 때입니다. 태양이 황경 285도에 위치할 때입니다. 소한은 해가 양력으로 바뀌고 처음 나타나는 절기입니다. 사실 이름상으로는 대한이 가장 춥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소한이 무렵이 가장 춥습니다. 1월 15일 쯤이 가장 춥다고 합니다. 

 

24. 대한(大寒)은 1월 20일 또는 21일입니다. 큰 추위라는 뜻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소한이 가장 춥습니다. 태양이 황경 300도에 위치할 때입니다. 

728x90
반응형

'명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십이운성 포태법  (0) 2023.03.25
장생과 목욕  (1) 2023.03.11
대운  (0) 2023.03.03
길신  (0) 2023.03.01
공망(空亡)  (0) 2023.0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