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이운성 포태법이란 일간을 기준으로 오행의 일생을 인간에 비유하여 생로병사 과정을 설명한 것입니다.
일간을 보고 그 줄에 있는 12지지를 나의 원국 지지에 붙이면 됩니다.
12운성은 지지의 글자가 무엇인지 살펴서 뿌리의 강도를 측정하는 것입니다.
4왕이면 뿌리가 지지와 연결되어 통근한다고 합니다. 4쇠면, 천간의 뿌리가 지지와 연결이 없다고 보아 무근이라고 합니다.
왕(旺)에는 장생, 관대, 건록, 제왕이 있습니다.
중(中)에는 목욕, 묘, 태, 양이 있습니다.
약(弱)에는 쇠, 병, 사, 절이 있습니다.
1. 장생(長生)
십이운성 가운데 최고의 길성입니다. 식물의 싹과 같습니다. 어머니의 몸에서 벗어난 최초의 시기로 출생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발전하고 성장하는 발전성이 있는 별입니다. 또한 순수합니 있는 시기입니다. 유화의 뜻을 가지고 있으며, 의욕이 왕성합니다. 대인관계가 원만하고, 대립보다는 대화와 화친을 좋아합니다. 예술가적인 기질이 있으며 창의적입니다. 지혜가 있고 일처리 능력이 뛰어나 성공이 빠릅니다.
* 년장생은 조상의 음덕이 있습니다. 특히 말년이 되면 복록이 더 많아집니다. 장생이 공망에 해당하면 복록이 감소합니다.
* 월장생은 부모덕이 좋고, 형제의 인덕이 좋습니다. 어디에서나 인정받습니다.
* 일장생은 내가 강하고, 생동적이라 복이 넘칩니다. 배우자 복도 있고, 금슬이 좋습니다.
하지만 일장생에 들었다해도 무인생과 정유생은 삶이 박복하여 의미가 없습니다. 병인일생과 임인일생 여자는 남편 복이 없습니다.
*시장생은 자식복이 좋습니다. 시주는 자식으로 귀한 자식을 둔다는 뜻입니다. 말년에 복이 좋습니다.
2. 목욕(沐浴)
아기가 태어나면 목욕하고 새옷을 입힙니다. 이것은 물에 들어갔다 나와야 하는 괴로움의 상태와 같고, 울음과 슬픔, 곡절이 많습니다. 목욕은 욕살, 패살이라고 합니다. 모태에서의 온도와 환경이 다르므로 추위와 불편함으로 고통을 당한다는 의미입니다. 목욕은 남녀 합일 전에도 하기 때문에 이를 바탕으로 해석하면 이성관계가 문란하고 화려한 생활을 추구하므로 저축보다 낭비가 심하고 실패와 좌절을 겪습니다. 허영심이 많고, 방탕한 기운이 있습니다.
*년장생은 조상들이 주색을 하고 방탕하여 남겨줄 재산이 없습니다. 부부는 결혼해도 젊은 시절 이별합니다. 년지가 아니라 해도 정인이 목욕에 해당하면 풍류를 즐겨 부끄러워질 일이 많습니다. 특히 여자 사주에 정편관이 목욕, 년준에 자리하면 화류계인생도 많습니다.
*월목욕 : 준비의 반복으로 준비만 하고, 끈기가 없어 이룸을 볼 수 없습니다. 꿈만 꾸고 추진력과 지속력이 없습니다.
*일목욕 : 부모가 자식을 돌보지 않습니다. 어려서 고생을 합니다. 갑자일생과 신해일생이 목욕이면 고집이 매우 세고, 성격과 감정에서 대립이 심하여 부부가 이별하게 됩니다. 을사일생이고, 일목욕에 해당하는 남자는 덕망과 존경은 있지만 주색에 빠져 힘이 듭니다.
*시목욕 : 자식문제로 많이 힘이 듭니다. 말년에 고독하게 지냅니다.
3. 관대(冠帶)
성장과정이 끝나고목욕의 때를 지나 허리에 띠를 두르는 사춘기와 청년기에 와 있는 것 같습니다. 의관을 정제하고 진취적인 기상으로 독립, 독생하려는 기질이 강합니다. 책임과 의무가 막중해 어떠한 고통과 역경이라도 인내하며 참습니다. 자존심이 강하고, 불의와 타협하지 않으며, 적대시하는 경향이 많습니다.
4. 건록(建祿)
자신의 세계를 이루어가는 과정이므로 독립적이며, 다른 사람의 간섭을 거부합니다. 자신만만하게 자신의 포부를 펼치는 형상이나 인덕이 없으므로 자수성가하게 됩니다. 원리원칙주의며, 자존심이 강해 불의와 타협하지 않고, 명예와 체면을 지킵니다.
5. 제왕(帝旺)
세상물정에 통달해 능수능란한 사람과 같이 인생 일대의 전성시대입니다. 강인한 정신력을 지녔으며, 강자에 대한 반항심이 있고, 공익과 정의를 위해서는 물러섬이 없습니다. 단점으로는 독단으로 치우쳐 불화하기 쉽고, 남을 업신여기는 기질이 있습니다. 그리고 어떤 간섭이든 싫어합니다.
6. 쇠(衰)
산전수전을 다 겪고 기운이 쇠진함과 같으니, 점차 기울어지고 의욕이 상실됩니다. 독립할 능력은 있을지 모르나 독자적이고 강한 지도력을 발휘하기는 어렵습니다. 병들기 직전에 몸 전체가 쇠약해진 형상을 말합니다. 기질은 조용한 분위기를 좋아하며, 평화주의를 추구합니다.
7. 병(病)
기운이 쇠하고 늙으면 병이 들듯이 만사가 정상이 아니며, 감상적이고 비판적입니다. 생체의 흐름이 병들어서 죽을 때를 기다리는 때입니다. 올후독실하며 고요함을 좋아합니다. 어린 시절부터 몸이 병약하고 부모와 생사이별하는 수가 있으며, 성장 후에도 배우자와의 백년해로가 어렵고 재혼하는 수가 많습니다.
8. 사(死)
수명이 다하면 죽는 것을 말합니다. 고요하고 수줍어하는 편이지만 성급한 면이 있어 쓸데없는 일에 고민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의 분별력은 빠르고 예리해 모든 일을 미리 알아 예방해 나갑니다.
9. 묘(墓)
묘는 장이라고 합니다. 죽어서 관 속에 들어가고 무덤에 들어가니 다음 출생을 위해 기다리는 것을 말하는 것입니다. 창고에 저장되는 것과 같고, 하루가 끝난 후 다시 내일을 기다리는 것과 같으니 안정된 상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일찍부터 부모, 형제 운이 나쁘고 주거변동이 잦습니다. 항상 마음속에는 걱정, 근심, 괴로움이 있으며 부부가 백년해로하기 힘듭니다.
10. 절(絶)
절은 포라고도 합니다. 무인 상태이면서 시작이 되는 곳이므로, 새로운 화가 일어나는 시점이라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절의 기질은 지극히 수동적이며 음적인 상태이므로 외부의 변화에 쉽게 흔들립니다. 따라서 인정이 많아 마음고생을 많이 합니다.
11.태(胎)
부정모혈을 받아 어머니의 자궁 속에서 수태되는 것과 같습니다. 양육과 보호를 받는다는 시점에서는 희망적이고 발전적이지만, 동정받는 것을 좋아하고 의타심이 많습니다. 스스로 이룩하려는 기질이 약하며, 이성문제로 구설에 오릅니다.
12. 양(養)
어머니의 자궁 속에서 자라나는 아기의 형상입니다. 아무런 간섭 없이 안정과 보호 속에서 성장하는 과정이니 일의 시작을 말하며, 모든 일이 체계적으로 설계되는 상태입니다. 마음이 어질어 봉사정신이 투철하지만 어려운 고난을 당하게 되면 쉽게 좌절하므로, 과단성과 패기가 부족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