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에서 형(刑)은 충돌하여 깨뜨리고 무시해버린다는 의미가 있습니다.
사주와 대비하여 행운에서 형살의 작용이 올 경우, 질병이나 사고, 수술, 소송, 형액을 당하게 됩니다.
하지만 사주에 형살이 있다고 두려워 할 필요는 없습니다. 형살이 또다른 권력이 되게 하면 됩니다.
즉 형살이 있을 경우, 변호사, 검사, 의사, 약사, 군인 등의 직업을 가지게 되면 좋은 방향으로 형살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변호사, 검사 등의 직업을 갖은 사람들은 삼형살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신태약 사주*(다음 포스팅에서 자세히 다룰 예정입니다. )에 흉살이 중복되면 형액을 당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원리
삼형살(三刑殺)은 삼합과 방합이 서로 교체하며 대립하는 과정에서 발생합니다. 즉 강한 삼합과 방합의 결속에서 또 다른 극 작용으로 생기는 것입니다. 이는 모든 것이 넘치고, 가득차면 쇠하는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방합은 춘하추동의 계절이 모여서 합화하는 것입니다. 세 글자가 모여서 한가지 오행의 기운을 강화하는 것입니다. 이는 동족간의 결속을 의미하며, 특히 계절의 기를 중심으로 합하는 것으로 그 힘이 매우 강합니다.
방합 중 하나인 인묘진(寅卯辰)은 계절은 봄이고, 방향은 동쪽입니다. 유년, 나무(木)를 의미합니다.
인묘진(寅卯辰)은 강한 목국입니다.
삼합의 하나인 신자진(申子辰)은 강한 물입니다.
수생목(水生木) 물은 나무를 살게 합니다. 즉 신자진이 인묘진에게 수생목을 더 가하는 것과 같습니다. 즉 나무의 기운이 왕성해지다 못해 쇠하게 되는 것입니다.
신(申)은 인(寅)을 형(刑)하고, 자(子)는 묘(卯)를 형(刑)하고, 진(辰)은 진(辰)을 형합니다.
사오미( 巳午未)는 남쪽이며, 화(火)의 기운인데 강한 불(火)인 인오술(寅午戌)을 만나면 火가 더욱 강해서 인(寅)은 사( 巳)를 형하고, 오(午)는 오(午)를 형사고, 술(戌)은 미(未)를 형하게 됩니다 .
신유술(申酉戌)은 서쪽이며, 금(金)의 기운인데 금국(金局)인 사유축(巳酉丑)을 만나면 金이 더욱 왕성해서 사(巳)가 申을 형하고, 酉가 酉를 형하고 戌이 丑을 형하게 됩니다.
해자축(亥子丑)은 북쪽이며, 물(水)의 기운인데 인데, 해묘미(亥卯未)인 목국(木局)을 만나면 나무의 기운이 강해서 해(亥)가 해(亥)를 형하고 자(子)가 묘(卯)를 형하며, 축(丑)이 미(未)를 형하게 됩니다.
삼형살의 종류
1. 인사신(寅巳申) 삼형살
자신의 원국 지지에 인, 사, 신(寅,巳,申)이 들어가 있으면 삼형살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대운과 세운과 원국(자신의 사주)을 봤을 때 이 세 글자가 들어가 있으면 특정 시기에 삼형살이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형살이 있는 사주는 성격이 냉정하고 다른 사람을 억누르거나 잔인한 성향이 있습니다. 예의가 없고, 자기주장이 매우 강하며, 타인의 말을 듣지 않고, 성질이 급하고 독선적인 행동을 잘합니다. 오만하고, 언행이 거칠고, 이익이 되면 부모 형제도 배신을 합니다. 따라서 운이 안좋을 때에 삼형살이 있으며, 교통사고, 약물중독 등 사고를 조심해야 하며, 소장이나 편도선 등에 병이 생기거나 심장 관련 질병으로 수술하는 일이 있을 수 있습니다.
대인관계에서는 시비가 벌어져 송사로 번질 수도 있으니 각별히 조심해야 합니다.
하지만 끈기가 있고, 의지가 굳고 추진하는 일은 결과를 보고야 마는 사주로 잘 작용하면, 경찰, 군인, 법관, 의사 등의 권력을 사용하는 직업에서 성공하는 예도 많습니다. 특히 신왕 사주에 오행의 기가 유순하면, 백호살과 삼형살이 있어서 더욱 좋은 사주가 될 수 있습니다.
2. 축술미(丑戌未) 삼형살
축술미(丑戌未) 는 모두 흙의 기운으로 같은 오행이다. 즉 같은 오행인 토(土)끼리 형한다 하여 붕형(朋刑)이라고도 합니다.
축술미(丑戌未) 삼형을 지세지형이라고 하는데 이는 세력을 믿고 서로 형한다는 뜻입니다. 축술미(丑戌未) 속의 지장간들이 같은 오행인 흙의 기운을 친하게 생각고, 믿고 있다가 서로 형하여, 배신과 불신이 발생한다는 것입니다.
축술미(丑戌未) 삼형이 있으며, 친한 관계가 사소한 일로 원수가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또한 사주가 안좋을 때 삼형이 있으며, 부부불화, 배신, 이별 등으로 외로워 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사주가 좋을 때 삼형이 있으며, 모든 사람을 능가하고, 사람들의 생사를 쥐고 흔들 수 있는 권력을 질 수 있습니다. 경찰, 법관, 의사 등의 권력을 사용하는 직업으로 성공이 가능합니다.
3. 자묘(子卯) 상형살
자(子)가 묘(卯)를 형하고, 묘(卯)도 자(子)를 형하여, 서로 형한다고 상형이라고 합니다.
묘(卯)는 음의 기운인 나무로, 화초같이 유약합니다. 이 묘(卯)가 11월의 차가운 물의 기운 자(子)를 만나면, 수생목(水生木)할 듯 싶지만 차가움을 이기지 못하여, 나무가 얼어보리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자묘형살은 불청객이 와서 주인 행세를 하는 것처럼 비윤리성을 내포하고 있어서, 불륜, 패륜 등으로 해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대세운에 자묘(子卯) 상형살이 있게 되면, 불륜, 간통 등으로 구설, 시비 등의 형액이 따르게 됩니다. 대인관계에 있어서 폭력적이거나 패륜적인 사건이 생기고, 자궁, 비뇨기, 간장 계통에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로 합니다.
하지만 사주가 조화를 이루어서 좋으면, 산부인과, 비뇨기과에서 일하거나, 관광, 오락 사업등으로 성공하는 수가 생긴다고 합니다.
4. 진진(辰辰), 오오(午午), 유유(酉酉), 해해(亥亥) 자형살
진, 오, 유, 해가 자형이 되는 까닭은 다음과 같습니다.
방합국 - 인묘진(寅卯辰) 사오미( 巳午未) 신유술(申酉戌) 해자축(亥子丑)
삼합국 - 신자진(申子辰) 인오술(寅午戌) 사유축(巳酉丑) 해묘미(亥卯未)
다른 글자들은 서로 만나 형, 충이 되지만 진진(辰辰), 오오(午午), 유유(酉酉), 해해(亥亥)은 형, 충이 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사주가 전부 자형으로 되어 있거나 자형이 쌍이 있으면, 사고나 자해로 신체에 장애가 생겨 불구가 되거나 정신이 박약한 경우가 많습니다. 쌍둥이나 장애아를 출산하는 경우가 높고 중년에는 눈병이나 그밖의 사고로 실명하는 수도 있다고 합니다.
진진(辰辰) 자형은 일지나 시지에 가지고 있으면 첩으로 인하여 고생할 수 있다고 합니다. 수재나 냉해 매몰이나 익사 등의 사고, 피부병, 위장 등이 염려됩니다. 하지만 사주가 좋으면 창고업, 보관업, 수산업이나 법조계 등에서 성공하는 수도 있습니다.
오오(午午)자형은 불(火)의 기운이 많은 것으로 화기 사고, 폭발, 충돌, 총상이 염려되고, 노이로제, 조울증 등의 정신 신경 계통의 질병이 생길 수 있습니다. 보일러, 전기, 설비업, 가스, 주유소 사업을 경영하면 성공할 수 있다고 합니다.
유유(酉酉)자형은 모든 것을 줄이는 금의 기운이 강합니다. 따라서 기계, 칼 등으로 인해 상해, 수술을 경험하게 될 수도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생사여탈권을 가지는 직업을 갖게 되면 크게 성공할 수 있습니다.
해해(亥亥)자형은 물의 기운이 넘칩니다. 따라서 수재, 폭설, 한파로 인해 해를 입거나, 신장 계통의 질병을 가질 수 있습니다.
'명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십이신살(神殺) (0) | 2023.03.01 |
---|---|
파(破)와 해(害) (0) | 2023.03.01 |
임수(壬水)와 계수(癸水) (0) | 2023.02.21 |
경금(庚金)과 신금(辛金) (0) | 2023.02.21 |
무토(戊土)와 기토(己土) (0) | 2023.02.20 |